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가 점차 커지면서 글로벌 경제에 어두운 전망을 드리우고 있다. 

  중국의 최근 성장률 추이. 자료 : Bloomberg, CEIC, 하이투자증권
  중국의 최근 성장률 추이. 자료 : Bloomberg, CEIC, 하이투자증권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이 전형적인 '중진국 함정'에 빠졌다고 지적한다.

 15일 발표된 7월 실물지표도 모두 컨센서스와 직전치를 하회했다.

 소매판매는 전년동월대비 2.7% 증가하며 컨센서스(4.9%)를 하회했고 6월(3.1%)보다 둔화됐다. 특히 정부의 부양책으로 개선 중인 자동차 판매를 제외하면 나머지 품목의 소비 증가율은 1.5%에 불과했다.

 온라인 소비도 전년 동기대비 4.2% 감소해 4개월의 반등 추세가 주춤해졌다. 부동산투자도 예상(-5.7%)보다 더 부진한 -6.4%를 기록했다.

 그러자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부진한 수요를 살리기 위해 정책금리인 1년물 MLF 금리를 2.85%→2.75%로 10bp 인하했다. 전혀 예상치 못한 이례적인 조치다.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ING 뱅크는 중국의 올해 GDP를 4.4%에서 4%로 0.4% 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ING는 하반기 추가 하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이는 수출력 회복 여부에 달려있다고 지적했다.

 메리츠증권 최설화 연구원은 "현재 중국 경제의 가장 큰 문제는 코로나 정책과 부동산 디레버리징이 전통 경기부양책의 효과를 상쇄하고 있어 회복력이 예상보다 더 약하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제성장 국면의 전환 신호. 자료 : Bloomberg, CEIC, 하이투자증권  
  중국의 경제성장 국면의 전환 신호. 자료 : Bloomberg, CEIC, 하이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박상현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중국 GDP 성장률은 팬데믹 당시인 2020년(2.2%)를 제외하면 1990년 3.9%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공산이 높다"고 전망했다.

 박 연구원은 "문제는 올해만의 성장률이 아니라 중국 경제가 소위 중진국 함정에 빠지면서 또 다시 성장률 수준이 한단계 내려앉을 리스크가 크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저성장 압력 요인으로 △내수성장의 한계 △ 공동부유로 대변되는 경제 패러다임 전환 후유증 △미국과의 기술패권 경쟁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내 중국 위상 약화 가능성 등을 꼽고 있다.

 특히 고령층의 인구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중국은 2000년 '고령화 사회'를 넘어 지난해 '고령사회'로 진입했다는 점이다. 고령사회는 65세 이상 인구비중이 14~20%를 차지한다.

 박 연구원은 "중국 경제의 중장기 저성장 압력과 경기 경착륙 리스크는 궁극적으로 한국기업들의 대중국 수출경기 및 구조에 큰 파장을 초래할 수 있다"며 "한-중 경제 관계 역시 긍·부정 여부를 떠나 뉴 노멀(New Normal) 국면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신중히 판단해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