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반도체·디스플레이생산라인의작업환경을분석한결과벤젠과에틸렌글리콜류등유해물질이검출되지않은것으로조사됐다.또일부검출된물질도극히미미한수준이어서인체유해성판단이사실상불가능하다는진단결과가나왔다./사진출처=뉴시스
삼성전자반도체·디스플레이생산라인의작업환경을분석한결과벤젠과에틸렌글리콜류등유해물질이검출되지않은것으로조사됐다.또일부검출된물질도극히미미한수준이어서인체유해성판단이사실상불가능하다는진단결과가나왔다./사진출처=뉴시스

삼성전자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라인의 작업환경을 분석한 결과 벤젠과 에틸렌글리콜류 등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일부 검출된 물질도 극히 미미한 수준이어서 인체 유해성 판단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진단 결과가 나왔다.

삼성 옴브즈만 위원회는 25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교수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3년간 작업환경측정 결과에 대한 분석과 직접 측정·실험 등을 통해 도출한 결론을 발표했다.

삼성옴부즈만 위원회는 2016년 1월 삼성전자, 삼성 직업병 가족대책위원회, 반도체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이 합의해 꾸린 독립기구다.

위원회는 삼성전자가 최근 3년간 실시한 작업환경측정을 분석한 결과, 검출된 유해인자 중 법적 노출허용기준 10%를 초과한 경우는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작업환경측정결과를 이용한 노출평가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근로자 직무력과 작업환경 측정결과를 연결하는 '직무노출매트릭스(Job Exposure Matrix)'를 구축하라고 제안했다.

특히 웨이퍼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감광액 용액 가운데 벌크 시료 54개를 선정해 25종의 유해화학물질 검출 여부를 직접 분석한 결과 벤젠과 에틸렌글리콜류 등 16종은 검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유지보수 작업 때 공기 중 화학적 유해인자와 전자파 노출을 직접 측정했을 때에도 대부분의 유해인자가 검출되지 않았고, 검출된 경우에도 기준에 훨씬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옴부즈만위는 삼성전자의 대국민 신뢰도 및 기업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삼성전자가 근로자 건강과 안전 문제, 조직 소통 능력에 대한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하고, "선도적 기업체의 건강·안전·환경 관련 위험 관리 사례를 지속적으로 벤치마킹하고, 근로자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반도체 생산라인 작업환경 측정보고서 공개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선 “산재 판단을 위해서는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모든 화학물질 리스트를 공개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