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국내 게임업계에 있어 올 한해를 관통할 핵심 키워드를 꼽자면 단연 '블록체인'이다. 현재 위메이드를 필두로 컴투스, 엔씨소프트 등 많은 게임사들이 블록체인 게임 전쟁에 참전한 상황. 메타버스라는 메가 트렌드를 쫓기 위한 게임사들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시작은 로블록스였다. 올해 초 로블록스는 선풍적인 인기를 바탕으로 메타버스라는 광의의 개념을 끄집어냈다. 이후 가상현실을 실현시킬 매개체로 블록체인 기반의 P2E(Play to Earn)가 떠올랐다. P2E는 게임을 하면서 돈을 버는 것을 말한다. 그중에서도 NFT(대체불가토큰)는 이러한 블록체인 경제 생태계를 완성시킬 마지막 퍼즐로 평가받는다. 

가상자산과 결합된 NFT는 아이템의 소유권 등을 게임사가 아닌 유저에게 주는 특징을 지닌다. 유저는 NFT 아이템 등을 팔아 이를 수익화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사는 거래 수수료만  챙기는 구조다. 획기적인 수익 모델인 만큼 게임사, 유저 모두에게 주목받고 있다.

문제는 지나친 NFT 열풍에 있다. 게임사들이 앞다퉈 NFT 인기에 편승하려 하는 탓에 본연의 업무인 '게임 개발'을 등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시프트업의 김형태 대표는 "제대로 된 게임을 만드는 게 우선"이라며 "NFT는 부가적으로 따라 붙는 것"이라고 현 NFT 광풍을 지적했다.

네오위즈의 최지원 PD 역시 신작 'P의 거짓' 미디어 인터뷰에서 "게임 본연의 재미에 집중하기 위해 NFT 도입을 고려하지 않았다"며 소신 있는 발언을 꺼내기도 했다.

이들 발언의 요점은 NFT는 수단으로 그쳐야 하며 '게임성'이 주가 돼야 한다는 소리다.

일각에선 향후 출시될 NFT 게임들이 재탕 우려가 높다고 지적한다. 리스크를 줄이는 게임업계의 통념상 기존 IP에 P2E를 더한 형태로 출시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이창영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향후 모든 게임회사는 NFT 게임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다만 기존 게임의 밸런싱 문제로 기존 지적재산권(IP)를 활용한 신규 게임을 통해 NFT를 출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특히 MMORPG 장르에 편중된 국내 게임의 고질적인 특성도 들여다 봐야 한다. MMO 한 가지 장르만 고집할 경우, 국산 NFT 게임은 글로벌 경쟁력에 있어 다양성 부재라는 문제에도 직면할 수 있다.

국내에선 아직까지 이렇다 할 NFT 게임은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엔씨소프트, 컴투스의 신작 NFT 게임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나 만나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요한 것은 P2E 경제 생태계 구현을 위해선 게임의 흥행이 먼저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충분한 유저풀이 없다면 그토록 열망했던 블록체인 경제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단순명료하게 유저는 재밌는 게임을 찾는다. 이같은 사실은 시대가 흘러도 변함이 없다. NFT 게임도 마찬가지다. 게임사는 '게임성', '재미' 등 본연의 임무에 충실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