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와 자동차 등 10대 제조업이 올해 110조원 설비투자 계획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업계의 투자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밀착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안덕근 장관 주재로 '제1차 산업투자 전략회의'를 열고 올해 기업 투자 계획을 점검하고 정부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산업투자 전략회의는 정부와 산업계가 소통하는 최상위급 정례 회의체다. 산업부는 기업들로부터 투자에 관련된 애로 사항을 듣고 해결 방안을 함께 논의하는 채널로 지속해 활용해나갈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는 SK하이닉스 김동섭 사장, 현대차 장재훈 사장, 삼성디스플레이 최주선 사장, LG에너지솔루션 박진원 부사장, HD한국조선해양 김성준 부사장, 셀트리온 윤정원 사장, HD현대인프라코어 오승현 사장, 포스코 이시우 사장, 에쓰오일 류열 사장, 효성첨단소재 안홍상 부사장 등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각 업계를 대표하는 기업 임원들이 참석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챔버라운지에서 제1차 산업투자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챔버라운지에서 제1차 산업투자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국내 10대 분야 제조업 기업들이 계획 중인 주요 설비 투자 금액은 총 110조6000억원으로 작년 투자 계획(100조원)보다 약 1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자동차와 디스플레이는 각각 16조6000억원과 10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차전지 분야의 공장 신증설 투자도 7조1000억원에 달했다. 철강 업체 투자는 5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이 같은 기업들의 투자 계획이 차질 없이 집행될 수 있도록 임시투자세액공제 적용 기간 연장,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를 통한 규제 완화 등 종합적인 지원을 할 계획이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대규모 제조 시설 투자가 일대 지방자치단체의 인허가 지연으로 늦어지는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관련 지자체가 기업의 투자 이익을 공유하는 '상생 벨트' 제도 도입도 추진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정부의 새 산업 정책인 '신(新)산업 정책 2.0' 전략도 논의됐다.

산업부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 등 20개 이상의 업종별·기능별 산업 전략을 발표하는 등 산업 혁신의 기반을 닦은 '신산업 정책 1.0'을 펴왔다고 자평하면서 향후 '인공지능(AI)과 산업의 융합'을 최우선 정책 과제로 설정한 '신산업 정책 2.0'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또 AI와 산업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참여한 ‘AI 산업정책위원회’를 꾸리고 100여명 규모의 작업반 운영을 통해 올해 안에 ‘AI 시대의 신산업 정책’을 수립해 발표할 계획이다. 아울러 AI, 소프트웨어, 로봇·기계·장비 등 3대 분야의 핵심 기술을 선별해 상반기 중으로 'AI 자율 제조 기술 로드맵'을 마련한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챔버라운지에서 제1차 산업투자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챔버라운지에서 제1차 산업투자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이와 함께 기업의 투자계획에 따라 정부도 민간과 보조를 맞춰 투자하는 ‘투자 동행 3대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전력·용수 등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인프라 투자 △생산시설 투자와 연계해 국내 소부장 개발을 지원하는 '공급망 자립화 투자' △생산시설이 적기에 가동될 수 있도록 국내·외 인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인력양성 투자'에 집중할 방침을 세웠다. 

안덕근 장관은 "투자는 일자리 창출, 신기술 개발, 생산성 향상 등 1석 3조 효과가 있는 경제 활력 회복의 핵심 요소"라며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장관을 비롯한 산업부 전체가 발 벗고 나설 예정인 만큼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투자를 진행해달라"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