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우 기자
김현우 기자

알리와 테무에서 판매 중인 장신구 제품에서 국내 기준치의 700배에 달하는 발암물질이 검출됐다고 해 논란이 불거졌다. 이 외에도 판매율 상위에 해당하는 어린이용품과 생활용품에서도 유해 물질이 나왔다.

소비자들 대부분 저렴한 중국 제품에 거는 기대가 크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유해 물질 범벅인 저질 제품일 것이라고도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알리와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시장 영향력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기준 두 업체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각각 887만명, 829만명이다. 쿠팡에 이어 2위, 3위에 달한다.

천문학적 비용을 투자하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알리는 배송 인프라에 투자해 배송 기간을 단축해서 국내 이커머스와의 격차를 줄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향후 3년간 11억 달러(약 1조4400억원)를 한국 시장에 투자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테무는 글로벌 광고비용만 4조원을 들여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실제 국내 온라인 사이트 어디에서도 테무 광고를 볼 수 있다.

이처럼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서 많은 돈을 쓰고 있지만, 소비자 보호를 위한 노력은 뒷전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가 벌어지고 나서 알리는 내부 조사를 통해 국내 기준치에 못 미치는 부적합 제품은 판매 리스트에서 제거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테무는 문제가 불거진 제품을 찾는 한편 유사 제품에 대해 조사를 실시해 안전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는 입장이다. 업체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소비자 보호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대책이 공염불로 들리는 이유는, 유해 물질 범벅인 저질 제품을 걸러내지 못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자체 모니터링 제도를 사태 발생 이후에도 해결책인 양 들고 왔기 때문이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기존에 자체 모니터링이 없었겠냐"라며 "오픈 마켓 방식이라 어려움도 있겠지만,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의지가 부족한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지적했다.

결국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에 믿고 맡길 것이 아니라 관리 감독이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는 지난달 일정 규모 이상의 해외 사업자는 국내 대리인 지정을 의무화하도록 전자상거래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해외 플랫폼의 4대 피해 항목으로 위해 식·의약품, 가품, 청소년 유해매체물(성인용품), 개인정보 침해 등을 선정하고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공정위, 식약처, 특허청, 관세청 등 관계 부처가 안전망을 구축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정부 차원의 대책은 자리 잡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유통생태계가 갖춰지기 전까지는 소비자 스스로 안전한 소비를 지향해야 한다. 싸다고 득달같이 달려들 일이 아니다. 어떤 소비가 제값을 하는 것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