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명 김선한 대기자
- 입력 2025.11.26 07:01
징둥·메이퇀 등과 할인·보조금 경쟁으로 순이익은 감소
![알리바바[로이터=연합뉴스]](https://cdn.getnews.co.kr/news/photo/202511/850721_498685_5854.jpg)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가 '빠른 배송' 서비스 출시에 따른 이용자 증가와 클라우드 부문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 3분기(회계연도 기준 7∼9월) 시장 전망을 웃도는 실적을 기록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5일 알리바바의 지난 3분기 매출이 2478억위안(51조3169억원)으로 블룸버그 전망치 2452억위안(50조7588억원)을 상회했다고 연합뉴스가 인용 보도했다.
회사 측은 클라우드 사업부 실적이 전년 대비 34% 증가하면서, 인공지능(AI) 관련 제품 매출 증가율이 전년 대비 세자릿수가 됐다고 전했다.
같은 기간 알리바바의 순이익은 206억위안(4조34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했다. 다만 전문가 예상치인 92억위안(1조9050억원)은 웃돌았다.
로이터 통신은 알리바바의 실적 호조에 대해 "중국 '인스턴트 커머스'(빠른 배송) 시장에서 벌어지는 고비용 경쟁 구도에서 나온 성과"라면서 "배송 서비스 투자 확대가 쇼핑 앱 사용자 증가로 이어지고, 클라우드 부문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매출을 냈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지난 4월 말 온라인 쇼핑과 즉시 배송을 결합한 '인스턴트 커머스'를 출시해 호응을 얻었다. 이는 즉석식품이나 음료, 생필품, 소형 가전 등 제품을 주문 후 30분∼1시간 이내에 배송해주는 초단기 배송 서비스를 말한다.
알리바바는 중장기 사업을 위한 대규모 투자도 이어갈 전망이다. 우융밍 알리바바 최고경영자(CEO)는 "AI 기술·인프라·일상생활 서비스·전자상거래를 통합한 소비 플랫폼에 대한 장기 전략적 가치를 구축하기 위한 투자 단계에 들어섰다"고 강조했다.
알리바바가 지난 12개월간 AI와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한 금액만 1200억위안(24조8412억원)에 달한다.
알리바바는 최근 중국 최대 쇼핑 행사인 광군제(光棍節·11월11일))에서도 대규모 보조금과 해외 확장을 앞세워 매출을 끌어올렸다.
중국 데이터 분석 업체 신툰(Syntun·星圖數據)에 따르면 올해 광군제 총매출은 1조7000억위안(350조원)에 달해 전년 대비 18% 늘었다. 그러나 각 업체는 구체적인 자사 매출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알리바바는 최신 AI 챗봇 모델인 '큐원'(Qwen)을 기반으로 무료 앱을 출시했는데 일주일만에 1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1억5000만 사용자를 확보한 바이트댄스의 AI앱 '더우바오'와 격차는 여전히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