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허브=이훈 기자] 핀테크(FinTech)가 연일 화제가 된 뒤 관련된 얘깃거리를 많이 접하게 된다. 핀테크란 금융을 뜻하는 파이낸셜(Financial)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다. 사실상 새로운 창조경제 영역이다. 모바일·전자결제, 모바일송금, 온라인 개인재정관리, 개인간(P2P)대출, 크라우드펀딩, 비트코인까지 핀테크로 분류되고 있다.
신문에서도 핀테크 관련 기사를 많이 읽을 수 있다. 핀테크 관련 스타트업이나 중소업체 대표 인터뷰도 눈에 많이 띈다. 이들 인터뷰의 공통된 주제는 바로 ‘정부의 규제’이다.
핀테크 산업 발전을 위해 지난해 11월 한국핀테크포럼이 출범됐다. 이 포럼에는 스타트업·은행권·정부 관계자가 참여했다. 특히 국내 핀테크 관련 스타트업이 많이 참여했다. 의장을 맡은 페이게이트 박소영 대표를 비롯해 비바리퍼블리카 이승건 대표 한국NFC 황승익 대표와 같은 스타트업 대표들이 대표적이다. 핀테크 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에 한목소리를 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핀테크 산업 활성화를 위해 많은 지원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전 규제를 최소화하고 공인인증서 사용의무 조항도 일괄 폐지키로 했다. 6월까지 한국형 인터넷 전문은행 모델을 수립하고 전자금융업 진입장벽도 완화할 계획이다.
하지만 핀테크 산업 활성화를 위해 기업과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작 국민들은 핀테크 기술에 대해 잘 모른다.
예컨대 페이게이트를 이용하면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어떤 웹 브라우저에서든 바로 신용카드로 물건값을 치를 수 있다. 비바리퍼블리카의 서비스를 이용하면 복잡한 모바일 송금을 3~4단계 만에 문자메시지(SMS)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정작 편리한 기술을 사용해야 할 소비자는 모르고 있는 것이다. 정부를 설득해 정책변화를 이끌었으나 소비자인 국민에까지 다가가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얘기다.
국내 핀테크 사업에 뛰어든 수많은 스타트업이 번번이 규제에 발목 잡히고 있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핀테크 산업을 이해하지 못한 현시점에서 규제완화만 외치는 것은 공허한 메아리가 될 수도 있다.
이제는 규제완화의 문제가 아니다.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때이다. 사람들이 편하게 핀테크 기술을 실생활에 사용해야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