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투아니아에 배치된 튀르키예제 '바이락타르 TB2' 드론[AFP 캡처]
리투아니아에 배치된 튀르키예제 '바이락타르 TB2' 드론[AFP 캡처]

한국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뒷통수 치기'가 점입가경이다. 

4.5세대 한국형 초음속전투기 KF-21(보라매)의 '공동개발국'인 인도네시아가 8000억원대의 '외상값'을 갚는 대신 튀르키예로부터 3900억원 규모의 전투용 무인기(드론, UCAVs)을 들여오기로 했기 때문이다.

공군전력 '공백 메꾸기'를 핑계삼아 운용한지 30년이 넘는 프랑스제 미라주 전투기 12대를 카타르로부터 도입하는 데 9400억원을 사용한 데 이은 처사다.

자카르타포스트, 로이터ㆍAP 통신 등 외신(1일자)은 인도네시아 국방부가 튀르키예 우주항공산업(Turkish Aerospace Industries, TAI)과 12대의 ANKA 드론을 구매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한국형 전투기 KF-21 시제 4호기가 지난 5월 9일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 격납고에서 나와 이동하고 있다[연합뉴스 자료 사진]
한국형 전투기 KF-21 시제 4호기가 지난 5월 9일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 격납고에서 나와 이동하고 있다[연합뉴스 자료 사진]

이는 지난 2월 양측 간의 계약에 따른 것으로, 오는 2025년 11월까지 인도네시아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외신은 국방부의 이번 발표가 "건전한"(healthy) 국방예산 편성과 집행을 강조한 조코 위도도(조코위)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경고성 발언이 있은 직후로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조코위 대통령과 프라보워 수비얀토 인도네시아 국방장관은 정치적으로는 라이벌이다. 대통령 자리를 놓고 여러 번 격돌한 데다 내년 대선에서도 마찬가지다.

조코위가 군부의 심기를 고려해 '불편한 동거'를 해온 프라보워 장관은 인도네시아 무기 도입을 사실상 독점해온 인사다. 대통령의 지시따위는 아예 무시한다는 것이 정설이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국방부 장관이 지난 3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20차 샹그릴라 대화에서 연설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자료 사진]
프라보워 수비안토 국방부 장관이 지난 3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20차 샹그릴라 대화에서 연설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자료 사진]

국제 군사전문가들은 이번 드론 도입건도 프라보워 장관의 '작품'이라고 입을 모은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도입하는 12대 중 6대는 튀르키예에서 제작한 것을, 나머지 6대는 기술이전 방식을 통해 인도네시아 국내에서 각각 조립생산될 예정이다. 

영국의 군사 전문매체 '제인스'도 인도네시아 재무부가 이번 드론 도입건에 대해 차관도입과 사용을 승인했다고 전했다.

라팔 전투기 뿐만 아니라 튀르키예제 드론 도입을 통해 내년 대선에 필요한 '실탄'을 확보하다고 판단했고, 이를 재무부가 도입과 사용 승인 뿐만 아니라 보증까지 섰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문제는 인도네시아가 도입하는 드론이 어떤 성능을 보유했는지, 어떤 임무를 수행하는지가 아니다. 

인도네시아가 카타르로부터 구매한 프랑스제 미라주 전투기[The Diplomat 캡처]
인도네시아가 카타르로부터 구매한 프랑스제 미라주 전투기[The Diplomat 캡처]

한국으로서는 인도네시아의 이런 '어이없는' 행동을 한국이 언제까지 용인해야 하느냐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상종가를 연일 경신하는 한국 방산업계에게 인도네시아는 이미 '진상'으로 자리매김했다. 

애초 인도네시아는 인도네시아는 연체 중인 8000억원대의 분담금 납부 계획을 지난 6월 말까지 통보해주기로 했다. 그러나, 방위사업청 확인 결과 '역시나'였다. 

프라보워 장관은 지난 6월 25일 인도네시아 언론을 통해 "분담금 지불 약속을 이행하겠으며, 한국 정부와 여전히 협상 중"이라고 주장했다. 

[그래픽] 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 개발 일지[연합뉴스]
[그래픽] 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 개발 일지[연합뉴스]

KF-21기는 6차례의 시험비행을 모두 성공적으로 마치고 양산 토대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이에 K-방산의 '최우수 고객'인 폴란드에서 인도네시아를 대신해 공동개발사업에 참여할 가능성까지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예상대로 인도네시아는 사업 계속 참여 의사와 함께 한국을 깎아내리는 이중자세를 보였다.  

이런 상황에 계속되자 "한국 방산산업 초기 때 우리를 도와준 고마운 존재가 인도네시아"라며 '대승적인' 차원에서 인도네시와의 협력 유지를 주장해온 일부 전문가들조차 인식을 달리하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또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과의 잠수함사업도 인도네시아의 '진상짓'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한다.

2021년 3월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의 국영 PAL조선소에서 '알루고로(Alugoro)' 잠수함 인도식이 열렸다.길이 61m, 1400t급 소형 잠수함인 알루고로함은 대우조선해양이 PAL조선소와 함께 2011년 인도네시아 국방부로부터 1차로 수주한 3척의 잠수함 중 마지막 함정이다[연합뉴스 자료 사진]
2021년 3월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의 국영 PAL조선소에서 '알루고로(Alugoro)' 잠수함 인도식이 열렸다.길이 61m, 1400t급 소형 잠수함인 알루고로함은 대우조선해양이 PAL조선소와 함께 2011년 인도네시아 국방부로부터 1차로 수주한 3척의 잠수함 중 마지막 함정이다[연합뉴스 자료 사진]

인도네시아는 지난 2011년 3척의 잠수함을 대우조선해양으로부터 도입한 데 이어 2019년 4월 3척의 잠수함건조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대우조선해양 측은 900억원대의 자재를 선발주했지만, 3년이 넘도록 계약 발효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사실상 계약이 파기됐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인도네시아를 '평가절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K-방산 수요가 폭증하는 마당에서 언제까지 인도네시아의 진상짓을 받아줘야 하느냐는 얘기다. 

국제방산시장에서 '더티'(dirty)하다는 평을 받는 프랑스가 인도네시아와의 계약 때는 "현금을 주지 않으면 턱도 없다"는 방식도 우리가 인도네시아에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