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곤 역사칼럼니스트/청렴연수원 등록 청렴강사
김세곤 역사칼럼니스트/청렴연수원 등록 청렴강사

 

         

세종 임금 때 청백리 맹사성(1360~1438)은 공직자들의 귀감이다.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최영 장군의 손녀사위이기도 한 그는 세종 때에 류관 · 황희와 함께 3청(淸)으로 이름났다. 

맹사성은 그의 호 고불(古佛)처럼 허리가 구부정하고 검은 소를 타고 피리 불고 다니는 소탈한 재상이었다. 그는 청빈은 말할 것도 없고 소통의 달인이었다. 

그 일화가 바로 공당문답(公堂問答)이다.

맹사성은 아버지 맹희도가 충청도 온양에 계셔서 문안을 드리러 거의 매주 온양을 갔다. 언제인가 한번은 온양에서 서울로 가는 도중에 경기도 용인에서 큰 비를 만났다. 그는 객관에 들어가지 않고 여관으로 들어갔다. 여관에는 비를 피하려는 손님이 많아 빈방이 없었다. 맹사성은 헛간 방 하나를 겨우 구할 수 있었다. 그런데 대청이 딸린 특실 방은 젊은 사람이 차지하고 있었다. 조금 있다가 그 젊은이는 맹사성이 측은해 보였는지 대청으로 올라오라고 청하였다. 두 사람은 통성명도 하지 않은 채 장기를 여러 판 두었다. 

어느덧 저녁 식사 시간이 되었다. 맹사성은 젊은이에게 식사 내기로 ‘말꼬리 잡기’ 문답놀이를 청하였다. 말끝에 반드시 ‘공’과 ‘당’이라는 토를 넣어 문답을 하여 말문이 막히는 자가 저녁식사를 사기로 하였다.

맹사성은 젊은이에게 “내가 나이가 많으니 먼저 시작하리다.”하고 먼저 묻기를, “어디서 왔는 공”하였다. 젊은이는 “영주에서 왔당”하였다. 
“어디로 가는 공”하니 “서울로 간당”하였다. “‘무엇하러 서울로 가는 공.”하자 “벼슬을 구하러 간당.” 하였다. “무슨 벼슬인공.” 하니까 “의정부 녹사(錄事)란 당.”하였다.

맹사성이 무심결에 “내가 합격시켜 줄 공.”하니, 젊은이는 황당해하며, “아니 무슨 말씀인지요.” 하였다. 결국 젊은이가 내기에 져서 맹사성은 술과 밥을 잘 얻어먹었다.

며칠 후에 맹사성이 의정부에 있는데 용인 여관에서 만났던 젊은이가 녹사 시험을 치르고 있었다. 맹사성이 옆에 가서 “시험 잘 보았는공.” 하니, 그 사람이 비로소 맹사성이 정승인 줄 알고는 “나, 죽었당.”하면서 납작 엎드렸다.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모두 이상하게 여겨 맹사성에게 그 까닭을 물었다. 맹사성이 자초지종을 이야기하자 모두 크게 웃었다. 

그 젊은이는 녹사가 되었고, 그 후 그는 맹사성을 추천을 받아 여러 고을 원님을 지냈다. 후세 사람들이 이를 일러, ‘공당문답(公堂問答)’이라 하였다.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에 수록되어 있다.

‘공당문답’ 일화는 두 가지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첫째는 맹사성이 객관에서 안 자고 여관에서 하룻밤을 지낸 점이다. 그만큼 그는 공과 사의 구분에 철저했다.  

둘째는 맹사성이 여관에서 머문 것은 백성들의 이야기를 듣고자 하는 의도도 있었다는 점이다. 그는 백성들 옆자리에서 술 마시고 식사하면서 민심을 귀동냥 한 것이다. 즉 “현장에 답이 있다”는 말을 실천한 것이다. 

이처럼 소탈한 재상 맹사성이었지만 그도 젊었을 때는 거만한 관리였다고 한다. 인터넷에 떠돌고 있는 이야기이다.

그가 열아홉 젊은 나이에 장원급제하여 파주군수가 되었는데 자만심이 하늘을 찔렀다. 그는 어느 날 고을에서 유명하다는 고승을 찾아가 “스님이 생각하시기에 이 고을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최고의 덕목으로 삼아야할 것은 무엇입니까?”라고 물었다.

그러자 스님은 “그야 어렵지 않지요. 나쁜 일을 하지 말고 착한 일을 많이 하면 됩니다.”라고 답변하였다. 이에 맹사성은 “그런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이치 아닙니까? 모처럼 찾아온 나에게 고작 이런 말 밖에 해줄 말이 없습니까?” 라고 거만하게 말하며 자리에서 일어나려 했다.

그러자 고승은 그에게 먼 길을 왔으니 차 한 잔하라고 붙잡았다. 그러자 그는 못이기는 척 자리에 앉았다. 그런데 고승은 찻잔에 찻물이 넘치도록 차를 따르는 것이 아닌가? “스님, 찻물이 넘쳐 방바닥이 흥건해졌습니다. 그만 따르시지요.”

맹사성이 소리쳤지만 스님은 계속 차를 따르고 있었다. 이윽고 고승은 잔뜩 화난 맹사성을 보고 말했다.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적시는 것은 아시면서, 재주가 넘쳐 인품을 망치는 것은 모르시나이까?”

스님의 이 한 마디에 맹사성은 급히 일어나 방문을 열고 나갔다. 그런데 그만 문에 머리를 세게 부딪치고 말았다. 고승은 웃으면서 말했다.

“고개를 낮추면 부딪치는 법이 없습니다.”

이 일화는 사실이 아니다. 그는 19세에 급제하지 않고 27세에 급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