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이차전지의 핵심 원료인 흑연을 수출 통제 대상에 넣기로 결정한 가운데, 중국 의존도가 90%에 달하는 국내 배터리 업계도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국 상무부와 해관총서(세관)는 오늘(20일) '흑연 품목에 대한 임시 수출 통제 조치의 최적화 및 조정에 관한 공고'를 발표하고 오는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수출 통제에 포함되는 흑연은 고순도(순도 99.9% 초과), 고강도(인장강도 30Mpa 초과), 고밀도(밀도 ㎤당 1.73g 초과) 인조흑연 재료와 제품 등이다.

현재 흑연은 채굴, 제련 등 대부분의 생산 과정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다. 중국에서 생산되는 흑연 물량은 전 세계 물량의 80%가 넘는다.

포스코케미칼의 천연흑연 음극재.(사진=연합뉴스)
포스코케미칼의 천연흑연 음극재.(사진=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인조흑연의 87%, 천연흑연의 72%를 중국에서 수입했다.

흑연이 배터리 핵심 소재인 음극재 생산에 쓰이는 만큼 국내 배터리 업계와 배터리 소재 업계도 공급망 점검에 나서는 등 긴장하고 있다.

지금은 흑연 재고 물량이 있어 흑연 수급에 당장 차질이 생기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수출 신고 제도로 흑연 조달 기간이 지연될 수 있는 등 장기적으로는 영향이 불가피한 상태다.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의 흑연 수출 통제로 국내에서 흑연을 이용해 이차전지용 음극재를 생산하는 포스코퓨처엠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 중국 업체들에서 직접 완제품 형태로 음극재를 구입하는 국내 배터리 업체들도 일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장기적으로, 세계적으로 핵심 광물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중국 흑연 의존도도 상당히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포스코그룹 계열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마다가스카르와 탄자니아에서 흑연 조달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마다가스카르 광산에서 향후 10년 동안 연간 3만t의 인상 흑연 또는 1만5000t의 구형 흑연을 조달해 포스코퓨처엠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또 지난달 탄자니아에서 호주 블랙록마이닝과 이 회사 증자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마헨지 광산의 천연 흑연 구매 권한 물량을 연간 약 6만t까지 늘리는 것을 협의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맺었다.

정부 관계자는 "중국이 발표한 것은 수출을 허가제로 하는 것으로, 수출이 안 되는 것은 아니라 아직은 칼집에 칼이 들어가 있는 상황으로 향후 모니터링이 중요하다"며 "인조흑연은 국내 생산 체계가 구축되고 있고, 천연흑연도 업체들이 도입 다변화를 모색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