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국제업무지구 조감도
용산국제업무지구 조감도

 

서울 용산에 100층 안팎의 랜드마크가 조성되고 세계 최초로 45층 건물을 연결하는 1.1㎞ 길이의 스카이 트레일(보행전망교)이 들어선다.

뿐만 아니라 지하부터 지상, 공중까지 사업부지 면적에 맞먹는 50만㎡의 녹지가 만들어 진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을 프레임으로 구성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안)'을 마련해 본격 사업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개발계획은 시와 사업시행(예정)자인 한국철도공사(코레일)·서울도시주택공사(SH)가 함께 구성했다.

앞서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지난 2010년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됐으나 2013년 자금 부족·국제금융위기 등으로 지정이 해제된 바 있다.

시는 사업 안정성을 위해 코레일과 SH가 기반 시설을 먼저 조성하고 민간이 토지를 분양받아 개발하는 방법을 채택했다.

상반기 구역 지정, 내년 상반기 실시계획인가를 목표로 동년 하반기 기반 시설 착공을 시작해 2030년대 초반 입주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사업비는 공공과 민간을 더해 약 51조원에 이른다.

1단계 기반시설 공사에 필요한 자금은 약 16조원으로, 토지비 8조∼10조원을 배제하고 필요한 공사비 가운데 약 3조원은 SH가 공사채로 조달하고 나머지는 토지분양 대금으로 마련된다.

2단계 토지 분양 민간 사업자의 사업비는 약 35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세계 대도시 도심부에 50만㎡ 규모 융복합 개발이 이뤄진 사례는 없다고 설명했다.

▶ 모든 생활 도보권 '콤팩트시티'…100층 랜드마크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업무·주거·여가문화 등을 도보 거리에서 전부 해결할 수 있는 콤팩트 시티로 거듭난다.

용도에 의해 국제업무·업무복합·업무지원 등 총 3개 존으로 분류된다.

국제업무존(8만8557㎡)은 제3종일반주거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용도지역을 상향해 최대 용적률 1700%까지 부여해 100층 안팎 랜드마크가 조성된다.

업무복합존(10만4905㎡)과 업무지원존(9만5239㎡)은 일반상업지역 등으로 용도지역을 올려 전체 사업지구 평균 용적률 900% 수준이 되게 했다.

국제업무존에는 프라임급 오피스를 비롯, 호텔, 광역환승센터 등을 구성하고 랜드마크 최상층에는 전망시설·어트랙션 등 복합놀이공간도 계획했다.

업무복합존에는 업무 및 기업지원시설이 입주하고 업무지원존에는 주거·교육·문화 등 지원시설이 마련된다.

▶ 지하부터 공중까지…사업부지 100% 수준 '입체녹지'

시는 공간 전체를 입체적으로 활용해 50만㎡ 수준의 녹지를 확보한다. 사업 부지면적(49.5만㎡)과 맞먹는 규모다.

또한 공중녹지(그린스퀘어), 순환형녹지(그린커브), 선형녹지(그린코리더) 등 수직·수평 녹지를 폭넓게 확보해 용산공원∼한강공원∼노들섬으로 이어지는 녹지보행축을 완성한다.

이어 최첨단 환경·교통 기술을 도입해 '탄소 배출 제로(0) 지구'로 운영한다.

용산역발(發) 공항철도와 분당선·GTX 등 4개 노선을 추가해 용산 대중교통 분담률을 57%에서 70%까지 끌어올리고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 지정 등에서 발생교통량은 절반 수준으로 축소한다.

자율주행셔틀·도심항공교통(UAM)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도입하고 내연기관차량 운행은 순차적으로 제한한다.

건물이 아닌 지역 단위로 친환경성을 인증하는 '서울형 LEED'를 최초 적용한다.

▶ 45층에 공중 연결하는 1.1㎞ 보행교 '스카이 트레일'…랜드마크 최고층 전망대

업무복합존 건축물 고층부(45층)에는 스카이 트레일을 도입하고 국제업무존 랜드마크 최고층에는 전망대와 공중정원 등을 만든다.

국제업무존 저층부에는 콘서트홀·아트뮤지엄·복합문화도서관 등으로 꾸려진 서울아트밴드(가칭)를 계획해 전체 시민이 다채로운 문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만초천 물길의 흐름을 이어받아 수(水)공간을 계획하고 한강공원·노들섬까지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강변북로 상부 덮개공원을 조성한다.

국제업무지구 정중앙에는 뉴욕 허드슨 야드 근처에 들어선 '베슬'이나 미국 시카고 밀레니엄 파크 내의 '클라우드 게이트' 같은 상징 조형물을 설치할 계획이다.

안정적 사업 추진과 혁신적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용도지역을 순차적으로 올린다.

국제업무존은 획지를 분양받은 민간이 창의·혁신 디자인을 제안하면 도시혁신구역 또는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해 고밀개발이 가능하도록 지원에 나선다.

이번 계획에는 가파르게 변화하는 도시 패러다임을 유연하게 담아내는 데 중점을 뒀다.

개발이 끝나게 되면 14만6000명의 고용 창출, 연간 32조6000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