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정보기술(IT) 제품 수요 회복에 따라 최근 부진했던 대중(對中) 수출이 올해는 상당 폭의 개선세를 나타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8일 펴낸 '최근 대중 무역수지 적자 원인 진단과 평가' 보고서를 통해 "올해 중국의 IT 수요 회복 속도가 9.3%로 글로벌 회복세인 6.8%보다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중 IT 수출은 크게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최근 대중 수출 부진은 주력인 반도체를 포함한 IT 상품 수출 부진에 따른 것이어서 중국의 IT 수요 회복이 전체 대중 수출의 뚜렷한 회복세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해 대중 수출은 전년보다 310억달러 감소했는데, IT 품목의 수출 감소액만 198억달러로 전체 수출 감소액의 64%를 차지했다.

다만 무역협회는 "대중 수출과 무역수지가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을 상대로 과거 같이 대규모 무역흑자를 이어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협회는 우선 중국 수입 시장에서 한국 상품의 경쟁력이 다른 나라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추세에 주목했다.

지난해 중국의 전체 수입에서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6.3%로 전년의 7.4%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1992년 한중 수교 이듬해인 1993년(5.2%) 이후 3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협회가 한 나라의 수출 변동을 경쟁력 요인과 구조 변화의 요인으로 분해하는 불변시장점유율(CMS) 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작년 한국의 대중 수출 감소에서 중국의 수요 감소 요인 비중은 30.1%에 그친 반면, 경쟁력 약화와 상품 구성 약화 요인 비중은 각각 31.9%, 37.9%로 나타났다.

이 같은 흐름은 작년 중국의 대한국 수입 상위 200개 품목 중 14개 품목의 점유율 하락으로 이어졌다. 작년 1∼11월 중국의 수입 시장에서 한국 반도체 점유율이 1.5%포인트 하락한 것을 비롯해 반도체 장비(3.2%포인트↓), 컴퓨터(3.8%포인트↓), 화장품(0.5%포인트↓), 합성수지(1.5%포인트↓), 디스플레이(4.9%포인트↓) 등의 시장 점유율이 전년 대비 떨어졌다.

중국으로부터 이차전지와 이차전지 소재 등 품목의 수입이 급증하는 추세도 대중 무역수지를 그게 바꾼 요인으로 분석된다. 

전기차와 이차전지 산업이 발달하면서 중국에서 수입되는 이차전지 완제품과 양극재, 전구체, 리튬 등 배터리 소재의 수입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리튬과 전구체 등 중국이 이차전지의 상류산업 분야에서 오랫동안 구축해온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의 자급 등 공급망 다변화 노력에도 대중 의존도를 단기간에 낮추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양극재, 리튬이온배터리, 전기차를 합친 '전기동력화 품목'의 무역수지 적자는 2020년까지 40억달러 수준이었지만, 2021년 78억달러, 2022년 129억달러를 거쳐 2023년에는 164억달러(약 22조원)로까지 커졌다. 이는 지난해 전체 대중 무역수지 적자액인 180억달러와 맞먹는다.

김우종 무협 연구위원은 "최근 전기 동력화 품목 수입 증가 속도, 중국 내 한국 제품 점유율 하락, 핵심 원료 수입 의존도 증가, 중국의 자급률 확대는 향후 대중 무역수지 흑자 전환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며 "배터리 원료 등 핵심 광물에 대한 중국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수입선 다양화, 국산화 등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