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시대의 출현으로 지난 2022년 기준 13.1%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는 산업연구원의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13일 발표한 'AI 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산업인력양성 과제' 보고서에서 인공지능의 미래 일자리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AI 노출지수로 일자리 소멸 위험을 추정할 경우 2022년 전체 일자리 기준 13.1%인 327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됐다.

자료 출처=산업연구원.
자료 출처=산업연구원.

산업별로는 제조업(93만개), 건설업(51만개),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6만개), 정보통신업(41만개)순으로 위험 일자리 수가 많고, 제조업 내에서도 주요 산업인 전자부품제조업(19만개), 전기장비제조업(11만개) 기타기계·장비제조업(10만개) 화학물질·제품제조업(9만개) 자동차·트레일러 제조업 (6만개)에서 일자리 소멸 영향이 크게 관찰되어 인공지능 활용에 따른 일자리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별로는 AI가 대체가능한 일자리의 59.9%인 196만개가 전문가 직종에 집중됐다. 공학전문가 및 정보통신전문가 비중이 높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5만개), 정보통신업(38만개) 뿐만 아니라 건설업(43만개), 제조업(37만개) 내에서도 전문직 일자리가 대체 위험이 가장 큰 직종으로 지목됐다.

특히 금융업에서는 일자리 소멸 위험군의 99.1%가 경영·금융전문가 직종으로, 인공지능의 노동 대체 양상은 과거 로봇이 생산직 일자리를 대체한 것과 매우 다를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송단비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인공지능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는 산업에서 석·박사급 인력 채용이 뚜렷하게 증가”했다고 밝히며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인력이 주로 대졸자인데 반해 인공지능 개발에는 더 높은 수준의 전문성이 요구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