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가구 시간대별 영아 돌봄 방법
맞벌이 가구 시간대별 영아 돌봄 방법

맞벌이 세대라도 여성의 일일 평균 아이 돌봄 시간은 남성의 2배를 초과하는 12시간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17일 '젠더 관점의 사회적 돌봄 재편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작년 8월 0∼7세 영유아를 둔 5530명(여성 3564명·남성 196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맞벌이 세대에서 아동의 어머니가 감당하는 일일 평균 돌봄 시간은 11.69시간으로 조사됐다.

이어 어린이집·유치원 등 돌봄 기관이 7.76시간, 아동의 아버지 4.71시간, 아동의 조부모 3.87시간 순을 나타냈다.

어머니의 돌봄 시간이 아버지보다 2.5배 수준인 셈이다.

하루를 30분 단위로 나눠 맞벌이 세대의 돌봄 방법을 분석해 살펴보면 출근 전과 퇴근 이후에 돌봄 부담은 상당부분 아동의 어머니에게 몰렸다.

오전 6시부터 오전 8시까지 아동 어머니의 돌봄 비율은 60∼80% 수준이었으나, 동일 시간대 아동 아버지는 10%대에 그쳤다.

일과 시간에 속하면서 돌봄 부담은 돌봄 기관 또는 아동의 조부모 등에게 넘어가는 흐름을 나타내다가, 퇴근 무렵에는 재차 아동의 어머니에게로 쏠린다.

오후 6시 기준 영아(0∼2세)를 둔 맞벌이 세대의 돌봄 비율은 아동의 어머니 55.2%, 아동의 아버지 20.2%, 아동의 조부모 15.5%, 어린이집·유치원 5.9% 등으로 분배된다.

동일 시간대 유아(3∼7세)를 둔 맞벌이 세대의 돌봄 비율도 아동의 어머니 52.8%, 아동의 아버지 17.4%, 아동의 조부모 16.3%, 어린이집·유치원 7.8% 등으로 유사한 양상을 나타낸다.

그 뒤 아이 어머니의 돌봄 비중은 계속해서 오르다 자정 무렵에는 70%를 초과한다.

해당 시간대 남성의 돌봄 비율은 20∼30%에 이른다.

비맞벌이 세대에서 아동의 어머니가 감당하는 일일 평균 돌봄 시간은 15.63시간, 아동의 아버지는 4.40시간이다.

맞벌이 세대와 비교했을 경우 아동의 어머니 돌봄 시간은 약 3시간 불었지만, 아동의 아버지는 별 차이가 없었다.

이같은 이유 때문에 '돌봄 기관에서 등·하원 시간을 늘리는데 비용을 부담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맞벌이 세대는 76.0%에 이른다.

평균 희망 지불 비용은 한 시간 기준 1만2800원이었다.

맞벌이 세대의 32.1%가 일과 자녀 돌봄에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돌봄 서비스 기관의 질적 향상'을 꼽았다.

이어 '돌봄 서비스 기관에서의 돌봄 시간 증가'(19.1%), '부모수당 등 각종 수당의 지급 확대'(16.8%), '일·생활 균형 문화 확대'(12.0%) 등의 순이었다.

이에 반해 최근 논의되는 '외국인 가사 도우미 제도'가 도입될 경우 이용 의향이 있다고 밝힌 맞벌이 세대는 27.4%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