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시장에서 반도체 업종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으나 과도한 수준은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4일 '반도체업종 쏠림 현상, 괜찮나' 보고서에서 "현 글로벌 산업 및 정책 구도와 국내 수출 현황을 생각하면 반도체 업종 쏠림 현상이 어느 정도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이러한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 연구원은 "지난 2일 기준 국내 전체 시가총액 중 반도체업종 시가총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8.6%로 전고점이었던 지난 2020년 3월 24일 29.3% 수준에 바짝 다가섰다"며 "반도체를 제외한 다른 업종의 시가총액은 전고점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증시의 반도체 업종 쏠림 현상은 글로벌 추세와 무관치 않다.

 

(데이터 : 구글 파이낸스 / 편집 박중호 기자)
(데이터 : 구글 파이낸스 / 편집 박중호 기자)
유로스톡스600의 대장주들, 럭셔리, 제약, 소프트웨어, 반도체 제조장비 외 (데이터 : 구글 파이낸스 / 편집 박중호 기자)
유로스톡스600의 대장주들, 럭셔리, 제약, 소프트웨어, 반도체 제조장비 외 (데이터 : 구글 파이낸스 / 편집 박중호 기자)

박 연구원은 "매그니피센트7(뉴욕증시의 강세장을 이끈 7개 기술 종목을 일컬음 )로 대변되는 빅테크 시장 쏠림 현상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일본과 유럽도 사무라이7과 그래놀라즈11로 상징되는 소수 종목 및 업종이 주식시장을 견인했다"며 "글로벌 제조업 경기의 전반적인 부진 속 인공지능(AI) 등 일부 첨단산업만의 성장 흐름을 보이면서 자금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부 업종 성장 흐름에 기댄 상승세는 한계가 있어 긍정적인 평가를 하기는 어렵다"면서도 "미국이 AI 등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공급 역량 확대를 위한 중장기 투자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주식시장 및 산업 사이클의 차별화 현상이 해소되기엔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크다"고 바라봤다.

박 연구원은 "24년 3월 기준 반도체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로 전고점이었던 2020년 5월 23%에 근접 중"이라며 "2분기 중 반도체 수출 규모가 더욱 확대될 여지가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의 반도체 업종 쏠림 현상이 우려할 정도로 과도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