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와 여당에서 게임산업에 잇따른 관심을 표하고 있다.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14일 롤파크를 찾아 리그오브레전드(LOL)를 플레이하는가 하면, 17일엔 김부겸 국무총리가 한국콘텐츠진흥원 글로벌게임허브센터를 찾아 청년 게임업체 대표를 격려하기도 했다. 

두 행보의 공통 키워드는 청년과 게임이다. LOL은 자타공인 국내 PC 온라인 게임 1위다. 그중에서도 2030세대가 주로 하는 게임에 속한다. 이날 이낙연 전 대표는 "상상하지 못했던 세계가 서울 종로 한가운데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고 평가하며 e스포츠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 역시 게임산업을 두고 "특히 청년층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청년 고용 친화형 산업으로, 청년들이 많은 꿈을 이루고 있는 분야"라고 말하면서 게임산업과 관련해 '제도적 완화', '삶의 질' 개선을 약속했다. 

정치인 등 유명인사가 게임산업에 관심을 갖는 것만큼 좋은 일은 없을 듯 하지만, 커뮤니티 반응은 썩 좋지 않다. 다른 의도가 보인다는 이유에서다.

한 누리꾼은 "평생 눈길 한번 안주던 동네(게임)까지 와서 구걸하는거 보니 뭐라도 해야겠다 싶었나보네"라고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다른 이는 "노력은 하시는 것 같지만 앞으로 내가 민주당에 표를 줄 일은 없을 것 같다"고 했다.

진정성이 없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는 이유는 시기의 문제도 있다. 최근 2030세대로부터 열렬한 지지로 파란을 일으킨 이준석 국민의힘 당 대표를 두고 민주당 내에서 위기감이 고조된 만큼 청년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그 선택지로 '게임'을 낙점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그간 게임업계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은 극히 드문 게 사실이었다. 최근 확률형 아이템 이슈가 터지고, 동북공정 논란이 일자 일부 의원들을 대상으로 게임법 개정안, 게임산업법 추진 등 바쁜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늦장 대응이라는 비판도 적지 않다. 

확률형 아이템의 경우에는 근 10년간 자리 잡은 BM(비즈니스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보호 등 제도적인 진척은 전무하다시피 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툭하면 판호 문제와 문화 침해를 일삼는 중국의 행태를 두고도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은 정부의 미온적인 태도에 국민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물론 대선은 정재계를 막론하고 가장 큰 이슈인 것은 분명하다. 그렇다고 해서 포퓰리즘의 소재로 '게임'을 끌어들여서는 안된다. 유명 정치인이 마우스를 들고 게임 한 판 했다고 해서 게임산업이 나아지리라 믿는 아둔한 국민은 없다.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아직 걷히지 않았고 더 깊게 들여다봐야 할 현안들도 여전히 많다. 그중에서 게임법 개정안 추진은 역사적으로나 게임산업에 있어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높다.

정치권은 법안을 조이고 다듬어 국민들의 기대치에 부흥해야 한다. 관련 산업 종사자의 명운과 소비자의 권리가 달려있는 문제다. 인기를 얻기 위해 중요한 것을 놓치는 우를 범하지 않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