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러시아를 상대로 한 경제 제재(이하 대러 제재)에 동참하면서 향후 파장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사진=글로벌경제신문)
정부가 러시아를 상대로 한 경제 제재(이하 대러 제재)에 동참하면서 향후 파장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사진=글로벌경제신문)

정부가 러시아를 상대로 한 경제 제재(이하 대러 제재)에 동참했다. 문제는 미국이 대러 제재와 관련 '역외통제(FDPR, 해외직접제품규칙)'에서 일본 등 32개국은 '면제 대상국'에 포함시키면서 한국 만은 쏙 뺐다는 사실이다.

이는 정부의 대러 제재 참여로 인해 향후 반도체 등 우리 기업들이 러시아 시장 등에서 자칫 유탄을 맞을 수 있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는 대목이다. 우리 정부가 이번 대러 제재 참여로 우려되는 우리 기업의 2차 피해를 최소화를 최우선시 해야 하는 이유다. 

따라서 대러 제재 참여에서 정부의 균형 있고, 전략적인 외교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2일 업계와 한국무역협회·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러시아는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의 1.6%와 수입 2.8%를 차지하는 10대 교역국이다. 우리나라는 러시아에 자동차를 비롯 가전을 비롯 관련 부품, 철강 제품을 수출하는 대신 현지로부터 나프타, 원유, 유연탄 등을 수입해다 쓰고 있다. 

러시아에는 이날 기준 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 포스코, 오리온 등 120여개 기업이 현지 법인 및 생산시설(공장)을 두고 판매 등 비즈니스 활동을 펼치고 있다.

우크라이나에도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코퍼레이션, 포스코인터내셔널, 한국타이어, 현대로템, 에코비스, 오스템임플란트 등 국내 기업들이 진출해 있다.

현재 코로나19 돌연변이인 오미크론 확산으로 원유, 철광석, 천연가스 등 원자재 난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최고조인 상황에서 동유럽 교역 거점 중 하나인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시장에서 수출 차질 등 변수가 생겼다는 점은 기업들이나 우리나라에게는 유무형의 악재다. 

이 같은 우려는 현실이 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17만1811대를 팔아 시장 점유율 10.3%를 점하고 있는 러시아 내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이 반도체 공급이 수월치 않으면서 지난 1일부터 오는 5일까지 생산라인 가동중단에 들어간 상태다. 

제약업계도 비상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의약품 수출액은 각각 1073억원, 220억원에 그치고 있으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진출해 있거나 논의 중인 한미약품., GC녹십자 등은 물론 현재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SK바이오사이언스와 종근당 등은 이번 전쟁의 악영향을 적잖이 걱정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다섯 번째 의료기기 수출국인 우크라이나라는 점을 감안하면, 피해의 폭은 더 커질 수 있다는 점 등은 정부의 정교한 대러 제재 참여 전략이 필요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