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경제신문 안종열기자
글로벌경제신문 안종열기자

 

올해 역시 국내 완성차 업계의 하투(夏鬪)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전 세계적인 반도체 품귀 현상, 물가 상승 등으로 국내외 경영 불확실성 등으로 상생을 바라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것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최근 현대자동차 노사는 올해 임금협상을 놓고 한창 줄다리기 중이다. 현대차는 노조에 ▲기본급 8만9000원(호봉승급분) 인상 ▲성과급 200%에 350만원 추가지급 ▲특별 격려금 50%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협상안을 제시했다. 

이는 올해 사측의 첫 제시안이다. 하지만 노조는 기대에 미치지 못 한 안이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노사는 지난 8일에도 협상 타결을 위해 오전부터 실무 교섭에 나섰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가 정한 협상 데드라인은 오는 13일, 이틀 뒤다. 이날까지 협상에 진전이 없으면 노조는 파업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노조는 이미 찬반투표를 통해 파업권을 확보해 놓은 상태다. 앞서 현대차 노조는 지난 1일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찬반투표에서 71.8%의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했다. 

이어 지난 4일 중앙노동위원회가 교섭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려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했다. 실제 파업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노조가 실제 파업에 돌입하면 2018년 이후 4년 만이다.

만약 완성차 업계 맏형격인 현대차가 파업에 나설 경우 기아와 한국지엠, 르노코리아차 등도 파업에 나설 가능성이 다분하다. 

특히 르노코리아차 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쟁의권 확보를 위한 후속 조치에 나섰다. 지난 8일 오후 제5차 본교섭을 열었으나 성과 없이 끝나면서다. 지난해 큰 파업 없이 임단협을 마무리한 한국GM의 상황도 순조롭지 않다. 지난 8일 5차 본교섭을 단행했지만, 아직 접점을 찾지 못했다.

최근 국내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완성차 업계는 '직격탄'을 맞게 된다. 이미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로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파업으로 인한 생산 차질까지 더해지면 큰 혼란이 올 것은 자명하다. 신차를 기다리는 소비자들의 피해만 늘어나는 것이다.

최근 기업들의 경영 키워드에서 '상생'을 제외할 수 없다. 당장 눈앞의 이익만을 쫓아 '귀족 노조'라는 부정적 타이틀을 거머쥐지 않길 바란다. 사측과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교섭으로 아름다운 노사 문화 창달의 계기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