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하위 변이 바이러스 BA.5의 검출률이 국내 204.1%, 해외 49.2%로 평균 28.2%을 기록해 1주일 전의 10.4%보다 2.7배로 증가했다.(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오미크론 하위 변이 바이러스 BA.5의 검출률이 국내 204.1%, 해외 49.2%로 평균 28.2%을 기록해 1주일 전의 10.4%보다 2.7배로 증가했다.(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19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확진자는 7만3582명을 기록했다. 지난 4월 27일 7만 6765명 이후 83일 만에 최다 규모이다. 2주일 전인 5일 1만8136명에 비해서는 305.7%(5만 5446명)이 급증해 4.1배가 됐고, 3주전인 6월 28일 9894명보다는 6만3688명(643.7%)이나 폭증해 7.4배가 됐다.

문제는 이 같은 확산세가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일일확진자가 현재같은 추세라면 7월말 ~8월초에 이미 15만에서 20만명이 도달할 가능성 높다고 예측하고 있다. 민간 수리예측에서는 그보다 더 높아질 전망으로 역대 최고 기록인 3월17일의 62만명을 넘어설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더욱이 확진자뿐만 아니라 위중증, 사망 등 세가지 핵심 방역 지표가 동시에 나빠지는 '트리플 악재'까지 예고돼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빠르게 재확산하는 가운데 새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코로나19 전문가'가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대병원장 출신 정호영 전 후보자가 '아빠 찬스' 논란으로 사퇴한 뒤에는 여성 발탁 요구를 수용해 김승희 전 후보자를 내세웠으나 국회의원 시절 위법 의혹으로 불명예 사퇴했다.

문제는 정부가 인선 자체를 서두르는 분위기는 아니다. 이러한 배경에는 대통령 국정 지지도가 30%대로 급락한 가운데 추가 인선 발표로 야권에 시빗거리를 제공하지 않겠다는 정무적 판단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현재의 코로나19 재유행의 확산세가 예사롭지 않아 제5의 대유행까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재유행은 전파력이 강하고 면역 회피 능력을 갖춘 오미크론 하위 변이 바이러스인 BA.5의 확산과 예방접종 효과 감소, 기존 감염자의 자연 면역력 저하 등이 주원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14일 국내 첫 확진자가 나와 이미 지역사회에 전파 중인 새 변이 ‘켄타우로스(BA.2.75)’는 전파력이 BA.5보다 무려 3배이상 더 높아 국가 방역의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BA.2.75는 면역을 회피하는 스파이크유전자 변이 수가 36개로 스텔스오미크론으로 알려진 BA.2보다 8개 많아 면역 회피성과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변이 바이러스는 백신이나 자연 감염으로 코로라19을 앓은 후 생긴 중화항체를 모두 무력화하고 돌파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지난 5월 26일 인도에서 최초 확인된 후 약 한 달만에 현지 우세종이 됐으며, 해외 10여개국에서 119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따라서 아직은 전 세계적으로 지배종이 될지는 확신할 수 없지만 각국 전문가들은 걱정스러운 눈길로 이를 유심히 관찰 중이다.

이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국내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지금 BA.5가 빠르게 퍼지고 있어 거의 우세종이 되어 가는 중인데 BA.2.75까지 더해져 함께 퍼지면 상황은 복잡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 방역을 수장인 보건복지부 장관의 공석은 유감스러움을 넘어서 심히 걱정이 된다

그러나 정부는 새 변이의 중증화율, 치명률에 대한 평가가 나오기 전까지 급박하게 대응 기조를 변경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미국과 우리나라와 코로나19에 대한 국가방역의 대처가 대조적이었서 주목을 끈다.

예를들어 미국은 트럼프 정부때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사태에 따른 연방 정부 차원의 대책을 진두지휘해온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이 현직으로 국가방역을 연속성을 지켜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문 정부시기에 코로나19 극복에 기여한 류근혁 전 보건복지부 2차관, 김강립 전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이 모두가 사임해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전시상황에서 수장을 바꾸어 버린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코로나 재유형이 우려되는 현재의 상황에서 복지부 장관의 장기 부재는 분명히 문제있다. 더 이상 국민 건강의 안전을 볼모 삼는 일이 없도록 누가 됐던 적정한 인물이 빠른시일내 임명될 수 있도록 여야가 협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