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경제신문 안종열 기자.
글로벌경제신문 안종열 기자.

 

정부가 'K-디스플레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칼을 빼들었다. 반도체에 이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한 것.

6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연구개발(R&D)과 시설투자시 높은 수준의 세액공제율을 적용받는 '국가전략기술'에 디스플레이 부문을 신설하고 패널 3개·소부장 2개 분야 등 5개 분야를 신규 지정 한다. 핵심은 시설투자 등에 대해 중견·대기업은 30~40%, 중소기업은 40~50%의 세제 혜택을 받는다는 것이다.

정부의 지원 배경에는 시장 침체와 경쟁력 강화 등이 있다. 지난해 디스플레이 시장은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이른바 3高(고)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TV와 스마트폰 수요가 감소하며 시장 전체가 침체됐다.

실제로 작년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 부문 수출은 전년대비 1.1% 감소한 211억 달러(한화 약 26조1429억원)를 기록했다. 올해 역시 소비 심리는 회복하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정부의 보조금을 등에 업은 중국의 기술 굴기(도약)도 매섭다. 중국은 이미 저가 정책으로 글로벌 액정표시장치(LCD) 시장의 주도권을 잡은 바 있다. 

일레로 LG디스플레이는 신속하지 못한 'LCD 출구' 전략으로 인해 작년 한해 2조원대에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한 바 있다.

OLED 시장도 위태롭다. 아직 한국과 중국기업 간 기술 격차가 일정 수준 벌어져 있긴 하지만 LCD 시장처럼 정부의 막대한 보조금을 등에 업고 저가 공세를 펼친다면 OLED 시장 역시 잠식당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이미 일부 중소형 OLED 제품군에선 중국기업의 점유율이 소폭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애플이 아이폰 시리즈의 디스플레이 공급을 올해부터 중국 업체 징동팡(BOE)에 맡긴다는 전망도 잇달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K-디스플레이의 핵심인 OLED는 LCD 같은 전철을 밟지 않아야 한다. 이번 지원안을 계기로 기업들이 선제적 투자에 나서고, 국가가 이를 지원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해 디스플레이 왕좌를 다시 되찾아 오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