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종열 글로벌경제신문 기자.
안종열 글로벌경제신문 기자.

 

정부가 2042년까지 경기 용인에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를 구축한다. 삼성전자는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 계획에 발맞춰 20년간 총 300조원을 투자키로 했다. 미국과 대만, 중국, 일본 등 반도체 산업 기반을 갖춘 주요 국가들이 자국내 생산시설을 유치하기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는 것에 대한 대응이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용인에 710만㎡ 규모의 산업단지를 조성, 2042년까지 첨단 반도체 제조공장 5개를 구축하고 국내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 등 최대 150개를 유치할 계획이다. 향후 메모리·파운드리·디자인하우스·팹리스·소부장 등 반도체 전 분야의 가치사슬(밸류체인)과 국내외 우수 인재가 한데 모인 '글로벌 반도체 클러스터'의 선도 모델이 될 수 있을 지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다만 걸림돌이 있다. 반도체 인력 부족이다. 사실 이같은 인력난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해묵은 과제다. 산업부는 2031년까지 10년간 15만명 이상의 추가 반도체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봤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은 연간 3000여명의 인력 부족을 겪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향후 10년간 반도체 인력 15만명을 양성한다는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정부의 인재 양성 프로그램은 미래 수요를 충당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방안이 현실화돼도 연간 직업계고·대학(원)에서 배출되는 반도체 산업인력은 6000명이 안된다. 이마저도 등록포기 현상으로 정원을 채우기도 쉽지 않다.

실제로 종로학원에 따르면 올해 수도권 주요대학 반도체학과 최초합격자의 등록 포기율은 155%에 달한다. 4개 대학에서 47명을 모집하는 반도체학과에서 합격자 73명이 최종등록을 포기했다.

교수진 확보도 시급하다. 대학교에서 어찌저찌 정원을 꽉 채운다 하더라도 학생들을 가르칠 사람이 없다. 수억 원대의 연봉을 받는 반도체 분야 민간 전문가를 스카우트하는 일은 사실상 어렵다. 여기에 임금 격차와 겸직 금지 등으로 교수들도 꺼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수 겸직을 제한적으로 허용해 임금 격차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교수진을 확보하는 전략이 있다. 또한 현재 호봉제 기반의 연봉 책정 방식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인센티브 제공 등 제도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소 극단적인 무전공 모집 방안도 괜찮은 방법 중 하나다. 구체적으로 1~2학년까지 각 계열에서 제공하는 교양과목과 전공 기초 과목을 수강하고, 3~4학년 진입할 때 세부 전공을 정한다는 것이다. 졸업 요건만 충족하면 학사 학위를 수여한다. 

우리나라 수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반도체가 무너진다는 것은 국가 경제 안위가 위태롭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전 세계는 반도체 주도권과 인재 육성에 혈안이 돼 있다. 국가 차원에서 대규모 투자도 단행하고 있다. 정부의 반도체 인력 육성 지원책이나 투자가 꾸준히 지속돼야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