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종열 글로벌경제신문 기자.
안종열 글로벌경제신문 기자.

 

삼성전자에 '노조리스크' 암운이 짙어지고 있다. 삼성전자 노조가 올해 임금 교섭 최종 결렬을 선언하고 파업 등 쟁의권 확보를 위한 조정 절차에 돌입하면서다. 만일 노조가 파업에 들어간다면, 삼성전자 1969년 창사 이래 54년 만에 처음이다. 노조는 앞서 작년에도 임금 협상이 결렬되자 쟁의 조정을 신청해 쟁의권을 확보했으나, 실제 파업에 나서지는 않았다.

중노위는 노동쟁의 조정 신청을 받으면 사용자 위원과 근로자 위원, 공익위원으로 구성된 조정위원회를 꾸려 10일간 노사 양측에 중재를 시도하게 된다. 중노위 중재에도 노사 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으면 중노위는 '조정 중지'를 결정하고, 이 경우 노조는 조합원 투표를 거쳐 합법적으로 파업을 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할 수 있다.

일각에선 노조가 사측에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것이 무슨 잘못이냐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글로벌 글로벌 경기 침체 영향으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반도체 부문은 적자를 기록했다. 반도체 사업부가 적자를 기록한 것은 금융 위기 때인 2009년 1분기(7100억원 적자) 이후 14년 만이다. 지난해 4분기에도 영업이익 2000억원에 그치며 겨우 적자를 면했다.

노조가 '잇속 챙기기'에만 몰입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노조는 본래 임금 결정권을 가진 사측에 대한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존재한다. 하지만 어느새 몇몇 노조들의 행위는 단순 '잇속 챙기기'로 변질됐다.

여론도 등을 돌렸다. 과거 노조는 노동자라는 사회적인 약자들을 위해 나섰기에 사회적 동정심을 받았다. 1987년 여론조사를 보면 지원하고 응원하는 여론들이 높았다. 하지만 현재 일반 시민들의 여론조사는 달리 나타나고 있다.

시민단체 바른언론시민행동이 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에 의뢰해 지난 13일부터 18일까지 전국 20~30세 성인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노조와 관련해 전반적으로 긍정(34%) 보다 부정(42%)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의 문제점으로는 "자신들의 이익만 챙긴다"라고 답변한 비중이 35%를 기록했다. 

사회가 노조를 바라보는 현실적인 모습이다. 사측과 노조는 서로 '윈윈'할 수 있는 관계가 돼야 한다. 이익보단 신뢰 회복이 우선돼야 한다. 이제는 노조 본연의 역할로 돌아가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