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50년 국내 취업자 평균연령이 약 54세까지 높아질 것이라는 SGI의 최근 보고서는 충격적일 정도다. 앞자리 숫자가 잘못 표기된 것 아닌가하는 착각을 불러일으켰을 정도다. 

이는 곧 정부는 물론 기업들도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비를 서둘러야 함을 알려주는 시그널로 받아들여진다. 무엇보다 고령화 사회로 야기될 수 있는 갖가지 문제들에 대해 정부의 역할쯤으로 인식하거나, '먼 나라 일'인 양 뒷짐을 지고 있는 기업들의 발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대한상의 SGI의 지적처럼 경제·산업 패러다임이 R&D, 소프트웨어 등 무형자산 중심 경제로 전환되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젊은 기술 인재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공급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불과 20~30년 후면 65세 노인인구 비중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도 홍콩 다음가는 초고령 사회를 맞이해야 하는 우리의 현실이 바로 앞에 놓이는 만큼, 첨단 인력 수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는 대목이다.

자료=대한상의.
자료=대한상의.

현재 고령화에 따른 인력난이 가사회되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AI(인공지능), 메타버스, 로봇 등 4차산업혁명(우주시대 포함) 시대 젊은 인력 수급이 어려워질 경우 미래 산업 주도권 확보는 커녕 미래 세대의 번영을 담보할 수 없는 노릇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범정부 차원의 공론화를 통한 어젠다 설정를 토대로 복지, 노동, 사회, 정치, 경제 전 부분의 패러다임 전환 및 구조적 전환 노력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기업의 역할도 무시할 수 없다. 고령화 사회에 따른 정년 논의나, 이에 따른 노동, 복지 등 법과 제도 혁신은 정부, 시민사회와 함께 보조를 맞춰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산업 구조 전환과 혁신을 아우르는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로보틱 처리 자동화(RPA) 등에 대한 적극적인 개발과 도입이 필요해 보인다.

이 과정에서 기업들은 저출산 문제 해법 모색도 병행해야 고령화 대책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