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김포시 모습.(사진=글로벌경제신문)
경기도 김포시 모습.(사진=글로벌경제신문)

'메가서울' 등 '메가시티' 문제가 요즘 장안의 이슈다. 이에 해법으로 대기업 본사의 이전 병행은 하나의 아이디어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여권에서는 이미 김포시의 서울시 편입 등을 애드벌룬으로 띄운 상태다. 이 과정에서 다소 결이 다를 수는 있지만, 전국 균형 발전 등을 고려한 대기업 본사의 이전도 먼저 고려해볼 만하다. 

일각에선 메가시티가 현재 글로벌 스탠다드라고 말하고 있다. 반은 맞고 반은 다를 수 있다. 후자는 메가시티와 함께 지방균등발전 문제도 현안이기 때문이다.

두 가지를 모두 충족시키기에는 무리가 따르겠지만, 대기업 본사의 이전은 메가시티로 인한 부작용 문제 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저출산 따른 지방 도시의 소멸 등을 일부는 해소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메가시티를 추진하되 선결 조건인 교육, 교통 등 인프라 확충과 복지,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젊은층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대기업 본사 등 사업장의 지방 이전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는 과밀화된 서울의 집중 문제 등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도 있다. 메가시티가 단순히 서울 등 광역급 도시의 소도시 흡수 차원이 아닌 대기업 본사나 특목고·대학 이전 등을 통해 편입 이후 지속가능한 자족기능을 만드는 것이 필요충분조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제대로만 된다면, 광역급 도시는 규모의 행정 및 경제를 도모할 수 있고, 소도시는 기존 특례시 형태의 자족도시 역할을 유지할 수 있는 만큼 편입으로 인한 ▲집값 급등이나 ▲교통난, ▲도심 집중화, ▲환경 문제 등의 완화나 해결 모색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지방 분권화에다, 서울이라는 제한된 공간의 과밀화로 인한 교통·주거·물가·환경·물류·인건비 등의 부담을 완화시켜줄 수 있어서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비대면 패러다임과 디지털 전환을 통한 글로컬라이제이션이 급진전되고 있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위치와 공간의 한계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확인한 터라, 어쩌면 과거 매 정권에서 추진한 기업의 지방은 이전은 수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현재 추진되고 있는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은 이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무엇보다 메가시티 성공을 위해선 다양한 모델 및 시나리오 연구 및 발굴과 함께, 정부는 지방으로 가려는 기업에 대해 법인세나 상속세 등을 깎아주는 등의 정책적 지원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