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우 기자
김현우 기자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발 이커머스의 국내 시장 공략 속도가 심상치 않다. 1만원 이하의 가격으로 판매되는 초저가 상품, 해외 직접 구매임에도 배송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3~5일 내로 받아볼 수 있는 배송 속도 덕이다.

이에 국내 이용자도 늘어나고 있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의 지난해 9월 통계에 따르면 알리익스프레스의 모바일 앱 국내 이용자 수는 545만명으로 쿠팡, 11번가, G마켓에 이은 4위 수준이다.

매년 구매액도 커지고 있다. 지난 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온라인 쇼핑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액은 3조2873억원으로 전년 1조4858억원 대비 무려 두 배 이상 늘었다.

이처럼 이용자가 많아지면서 안전 인증을 받지 않은 상품의 판매가 늘고 있다는 문제도 있다. 

실제로 정부는 지난해 국내 수입 업체가 구매 대행으로 해외에서 수입한 세정제와 탈취제, 방향제, 살균제, 코팅제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 바 있다. 결과는 상품 90개 가운데 40개가 국내 안전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통업계에서도 이와 같은 우려를 내놓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단순히 상품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저가 상품을 자주 구입하는 서민층이나 취약계층에서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예컨대, 생활용품은 안 쓸 수가 없다. 취약계층이나 서민층은 아무래도 저렴한 제품을 더 선호할 텐데, 중국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어떤 환경에서 어떤 재료로 어떤 과정을 거쳐서 만들었는지 모를 신뢰할 수 없는 제품의 유통이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이를 규제할 방법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머지않은 미래에 뉴스 보도를 통해 취약계층에서 중국산 저가 생활용품으로 인해 발생한 사건·사고를 접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중국발 이커머스에 판매되는 전자제품·어린이용품·생활용품 등 많은 상품은 한국 국가통합인증마크(KC)가 없다. 그런데도 멀쩡히 판매되고 있다. 국내 사업자가 제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경우에는 인증을 받아야 하지만, '개인이 직접 사용을 위해 구입하는 경우'에는 인증을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허술한 제도 탓에 신뢰할 수 없는 중국산 제품의 위험성에 사실상 모든 소비자가 노출돼 있지만 당장 이를 규제할 방법도 없는 상황이다. 

환경부 등 정부 관련 부처에서는 직구 상품 이용 후 문제가 발생해도 이에 대한 규정이 없어서 처벌이나 보상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소비자가 알아서 조심하라는 무책임한 입장을 내놓은 셈이다.

올해 중국발 이커머스의 본격적인 침공이 시작된다. 알리익스프레스는 국내 물류센터 건립을 고려 중이고, B2B 플랫폼 1688은 연내 한국 진출을 예고했다. 국내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없는 중국산 제품의 위험성에 더 많이 노출된다는 것이다.

KC 인증을 개인 통관을 비롯한 모든 제품에 적용하는 등 국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최소한의 대책이 필요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