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새 변이인 오미크론의 전파력이 델타 변이를 뛰어넘는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중증 위험도 역시 높을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일부 과학자들이 오미크론 변이가 베타 변이의 백신 회피력과 델타 변이의 폭발적인 전파력을 모두 지녔다며 '프랑켄슈타인 잡종'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많은 과학자가 오미크론 변이의 위험도를 알아내기 위해 뛰어드는 상황에서 일부 전문가들은 초기 징후로 보아 중증 위험도 면에서는 다소 안심되는 상황이라고 주장한다.
 
코로나19 환자를 이송하는 체코의 한 병원[EPA 연합뉴스 자료 사진]
코로나19 환자를 이송하는 체코의 한 병원[EPA 연합뉴스 자료 사진]

 

 
 오미크론 존재를 처음 보건 당국에 알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안젤리크 쿠체 박사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오미크론에 감염된 환자들에게 미각, 후각 상실이 없었고 가벼운 기침 증상만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같은 관측을 토대로 오미크론의 중증도가 낮을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성급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코로나19 백신 맞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어린이[AP=연합뉴스 자료 사진]
코로나19 백신 맞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어린이[AP=연합뉴스 자료 사진]

 

 
 
 쿠체 박사가 오미크론 감염자로 추정하고 관찰한 코로나19 확진자는 젊은이 20여명에 불과했다.
 
 남아프리카 코로나 변이 연구 컨소시엄의 리처드 러셀스 박사는 현재로서는 오미크론의 중증 위험도를 추측하기 이르다고 경고했다.
 
  남아공에서 발견된 오미크론 감염자가 젊을 뿐만 아니라 중증으로 악화할 만큼 확진 후 충분히 시간도 지나지 않았다는 게 이유였다.
 
 러셀스 박사는 "당연히 우리는 백신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대다수 감염자가 경증환자가 되기를 기대하지만 위험도를 가늠하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미크론 감염의 중증 위험도가 실제로 높다면 앞으로 1∼2주 안에 입원 환자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 오미크론 변이가 백신 접종자도 감염시키는지는 명확히 분석되지 않았지만, 자연적으로 형성된 면역력을 돌파한 것으로 보이는 사례들은 발견됐다고 전했다.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고 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AP 연합뉴스 자료 사진]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고 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AP 연합뉴스 자료 사진]

 

 
 학계에서는 오미크론이 보유한 50개의 돌연변이 중 30개 이상이 스파이크 단백질에 있는데, 이 중에는 이미 과거에 발견된 돌연변이들도 있다고 설명한다.
 
 국립 남아프리카 전염병 연구소의 페니 무어 박사는 오미크론에서 베타 변이종에서 발견된 백신을 회피하는 돌연변이와 델타 변이종에서 발견된 폭발적인 전염 능력을 지닌 돌연변이들이 모두 발견됐다"며 "내 추측으로는 이 두 가지 요소가 합쳐진 것 같다"고 말했다.
  앤소니 파우치 NIAID소장은 28일(현지시간)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이 면역보호를 회피, 미국에 5차 감염이 확산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사진=연합뉴스
  앤소니 파우치 NIAID소장은 28일(현지시간)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이 면역보호를 회피, 미국에 5차 감염이 확산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사진=연합뉴스

 

 
 그는 또 성격이 규명되지 않은 돌연변이들이 남아있다며 "돌기 위치만 보면 면역 결핍을 만드는 곳으로 알려진 자리에 있는 것들도 있다"고 우려했다.
 
모더나 이사회의 스티븐 호지 의장은 "오미크론은 모든 최고 유행작을 모아 만든 프랑켄슈타인 잡종과 같다"며 "우리가 가진 경종이 그냥 한꺼번에 모두 울리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mRNA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화이자 및 모더나 코로나19 백신[연합뉴스 자료 사진]
mRNA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화이자 및 모더나 코로나19 백신[연합뉴스 자료 사진]

 

 
 세계보건기구(WHO)도 이날 성명을 통해 오미크론의 전염력과 중증 위험도 등이 아직 뚜렷하게 파악되지 않았다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WHO는 현재로선 오미크론 증상이 다른 변이와 다르다고 볼 만한 정보가 없다면서 증상의 심각성을 파악하기까지 며칠에서 수주까지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지금까지 축적된 데이터상로 판단할 때 오미크론으로 인한 재감염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은 있다고 짚었다.

관련기사